기술검증
블록체인(Block Chain)이란 데이터가 담긴 블록을 일정 주기로 생성한 뒤 이전 블록에 체인과 같이 연결하는 기술입니다. 블록체인은 변조하기 어려운 형태이며 네트워크에 참여한 다수의 사용자가 정보를 공유할 수 있습니다. 또한, 다수의 사용자는 해당 데이터를 분산·저장할 수 있습니다.
가상·증강현실(메타버스) 기술이 적용된 의료기기의 허가·심사 가이드라인, 기타 메타버스 기반의 모든 자체/외부 SW 성능 평가 지표입니다
블록체인은 데이터를 저장, 분산하는 기술로서 원 데이터가 손실되지 않아야 합니다. 따라서 데이터를 저장하는 블록에 저장된 데이터의 손실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이에 따른 품질 지표는 블록화 성공률,블록화 정확도가 있습니다.
블록체인은 기존 거래 방식과 달리 다수의 참여자가 거래 내역을 처리하기에 기존 거래 방식과 거래 속도의 차이가 있습니다. 따라서 블록체인의 특성은 유지하고 속도를 높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에 따른 품질 지표는 블록체인 트랜잭션 처리량, 블록체인 트랜잭션 처리시간, 블록 생성 시간이 있습니다.
블록체인은 모든 참여자에게 전송되어 공유된다는투명성을 가지고 있지만 개인 정보 등과 같은 중요한데이터를 담은 경우 보안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암호화 기술에 대한 품질을 고려해야 합니다. 이에 따른 품질 지표는 암호화 처리 성공률, 암호화처리시간이 있습니다.
| 주요 성능 지표 | 측정 방법 | ISO/IEC 25023 |
|---|---|---|
| 블럭화 성공률 | 데이터 저장, 등록 시 블록 생성 성공률 측정 ※ 성공률 = 블록 생성이 성공한 횟수 / 데이터 저장, 등록을 시도한 횟수 x 100 |
8.2.2 기능적 정확성 기능적 정확성 |
| 블럭화 정확도 | 데이터 저장, 등록 시 데이터 손실 없이 블록화되었는지 측정 ※ 정확도 = 데이터 손실 없이 블록화되어 저장된 횟수 / 데이터 저장, 등록을 시도한 횟수 x 100 |
8.2.2 기능적 정확성 기능적 정확성 |
| 블록 생성 시간 | 데이터 저장, 등록을 시도한 시점부터 블록이 생성되어 저장된 시점까지 측정 (로그 등으로 확인) |
8.3.1시간 반응성 평균 소요시간 |
| 블록체인 트랜잭션 처리량 | 블록체인을 이용한 트랜젝션을 발생시켜 초당 트랙젝션 수 측정 (로그 등으로 확인) |
8.3.1시간 반응성 평균 처리량 |
| 블록체인 트랜잭션 처리 시간 | 블록체인을 이용한 트랜젝션을 처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측정 (로그 등으로 확인) |
8.3.1시간 반응성 평균 소요시간 |
| 암호화 처리 성공률 | 데이터를 암호화한 후 복호화 하여 원본 데이터와 복호화 데이터를 비교하고, 두 데이터가 일치하는 비율 측정 | 8.2.2 기능적 정확성 기능적 정확성 |
| 암호화 처리 시간 |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시작 시점부터 완료 시점까지의 시간 측정 (로그 등으로 확인) |
8.3.1시간 반응성 평균 처리량 |